엔젤스윙은 국토교통부가 주최하는 '2025 스마트 건설 챌린지'에서 '안전관리 분야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드론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기술의 우수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은 결과이다.
올해로 6회째를 맞이하는 스마트 건설 챌린지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혁신적인 스마트 건설 기술을 발굴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매년 개최된다. 엔젤스윙은 안전관리, 단지·주택, 도로, 철도, 건설 정보모델링(BIM) 등 총 5개 기술 분야 중 특히 안전관리 분야에서 드론 실시간 영상 AI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기술을 시연하여 놓은 평가를 받았다.
엔젤스윙이 제안한 혁신 기술은 드론의 실시간 자동 관제를 통해 건설 현장의 고소 작업자를 스캔하고, AI가 위험 요소를 즉각적으로 탐지하여 플랫폼에 알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건설 현장 사망사고의 1위 원인인 추락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AI는 과거 사고 요인, 위험성 평가 요인, 국토부 산하 안전 관리원의 공식 매뉴얼 등을 기반으로 현장의 미흡한 부분을 분석하여 안전 위반 요소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도록 개발될 예정이다.
해당 기술은 고소 작업자의 '안전고리 미체결' 상황을 실시간으로 경고하고, 임시 시설 설계나 추락 위험 부자재 등 잠재적 위험 요소를 자동 탐지하여 공사 현장의 위험 요소를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타워크레인 설치 등으로 발생하는 CCTV 사각지대까지 드론으로 관제함으로써, 엔젤스윙 설루션 하나로 보다 효율적인 디지털 트윈 안전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엔젤스윙 설루션은 드론 스테이션 기반의 자동화된 드론 운영을 통해 이미 60만 평에 달하는 넓은 현장에서 실시간 관제 및 비상시 응급 처치 동선 생성 등에 활용되고 있다. 엔젤스윙은 드론으로 건설 현장을 촬영하고 이를 가상 공간에 옮겨 시공 및 안전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해 왔으며, 드론이 매일 정해진 시간에 현장을 자동으로 촬영하여 날짜별 공사 진척도는 물론 현장 곳곳의 위험 요소를 2D, 3D 모델링 가상 현장에서 탐지하고 작업 관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외 건설 현장 500곳 이상에 도입되어 설계 도면 중첩을 통한 정밀 시공 오차 검증, 드론 촬영 표면 데이터를 활용한 토공량 측량 업무 간편화, 그리고 실시간 드론 관제를 통한 면밀한 시공 및 작업 관리를 지원한다. 특히 2D, 3D 가상 현장 위에 실제 규격에 비례한 건설 중장비 배치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여 협소한 공간에서의 안전거리 확보 및 신호수 배치 등 다양한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계획 및 실행을 적극적으로 돕는다.
엔젤스윙 제품 개발팀 관계자는 "안전 관리자가 수기로 모든 현장의 위험 요소를 점검하는 것보다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위험 요소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해 제공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