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산업부 / 정부와 현대자동차·기아가 손을 맞잡고 자동차 부품 협력업체들의 탄소 감축을 본격적으로 지원한다.
출처 : 산업부 / 정부와 현대자동차·기아가 손을 맞잡고 자동차 부품 협력업체들의 탄소 감축을 본격적으로 지원한다.

정부와 현대자동차·기아가 손을 맞잡고 자동차 부품 협력업체들의 탄소 감축을 본격적으로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는 지난 11월 17일(월), 현대차·기아와 자동차 부품 협력기업 87개사(중소·중견) 약 200명, 그리고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과 함께 '자동차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협약식'을 개최하고, 자동차 산업 공급망의 탄소 경쟁력 제고를 위한 협력을 다짐했다.

최근 EU 등 주요국의 탄소 규제가 기존 '사업장 단위'에서 '제품 단위'로 정교화되면서,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발자국'이 새로운 수출 규제의 중요한 잣대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정부와 현대차·기아는 부품 협력업체의 저탄소 전환을 지원하여 우리 자동차 산업 전반의 탄소 경쟁력을 높이는 데 힘을 모으기로 결정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산업부와 현대차·기아는 우선 1차 협력업체의 탄소 감축 설비 교체를 지원한다. 이어서 해당 1차 협력업체는 지원받은 금액만큼을 환원하여 중기부와 함께 다시 2차 협력업체의 설비 교체를 지원하는 '연쇄적 탄소 감축' 모델을 추진한다.

이러한 민관이 함께하는 상생형 탄소 감축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자동차 공급망 전반의 저탄소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기아는 협력업체 지원을 통해 완성차의 탄소발자국을 낮추는 것은 물론, 외부 사업을 통해 확보한 감축 실적을 배출권거래제에서 상쇄 배출권 형태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산업부는 올해 4개의 공급망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며, 내년에는 '산업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 사업'('26년 신규)을 통해 공급망 전반으로 지원을 확산할 계획이다. 중기부 역시 '중소기업 탄소중립 설비투자 지원' 사업의 지원 규모를 확대하여 자동차 부품 중소기업들의 저탄소 전환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산업부 박동일 산업정책실장은 "공급망의 탄소 감축은 어느 한 기업이 단독으로 할 수 없으며, 정부·대기업·중소·중견기업 모두의 협업이 필요한 과제"라면서, "이번 공급망 탄소 감축 협약이 2035 NDC를 넘어 우리 산업 전반의 그린 전환(GX)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공급망 간 대결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중기부 노용석 1차관은 "글로벌 공급망 탄소 규제가 강화되면서 공급망 전반의 감축 노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라며, "특히 부품 산업 내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자동차 산업에서 공급망 차원의 선제적인 감축 노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높이 평가하고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언급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기업·정부·공공기관이 함께 만든 공급망 저탄소 전환의 실질적 협력 모델"이라며, "지속가능경영 실천과 산업 생태계 전환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탄소 감축 노력이 산업 공급망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이번 자동차 공급망을 시작으로 앞으로 전기·전자,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조선 등 다른 주력 산업으로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을 확대하여 국내 산업의 '글로벌 탄소 규제 대응 역량'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산업단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