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ISO / ‘25.10월 기준 우리나라가 제안하여 개발 중인 국제표준은 PWI 25402를 비롯해 총 10건이다.
출처 : ISO / ‘25.10월 기준 우리나라가 제안하여 개발 중인 국제표준은 PWI 25402를 비롯해 총 10건이다.

국가기술표준원(원장 김대자)은 한국 탄소 산업진흥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공동으로 '2025 ISO TC 229(나노기술) 국제 표준화 회의 정기총회'를 11월 10일(월)부터 14일(금)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ISO TC 229는 첨단 바이오, 디스플레이, 양자 기술 등 미래 산업에 활용되는 나노기술 관련 국제표준을 개발하는 국제표준화기구(ISO) 산하 기술위원회이다. 올해로 설립 20주년을 맞이하였다.

이번 총회에는 영국, 독일, 미국, 일본, 중국 등 20여 개국 대표와 국내 산업계 및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하여 나노기술의 측정 표준, 보건 및 안전, 지속 가능성 등에 관한 글로벌 표준화 현안을 논의한다.

우리나라는 나노 소재 입자의 특성 평가, 나노 제품 및 응용, 나노기술의 보건 및 안전성 평가 관련 분야에서 총 10건의 국제표준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표준으로는 '발광 특성에 기반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결함 분석', '장기 내 생체 변환 금속산화물 나노 물질의 특성 평가', '라이소좀 막 투과 분석을 통한 나노 물질의 세포 독성 측정' 등이 있다.

이번 총회 개최를 계기로 우리나라가 제안한 10건의 국제표준(안)이 정식 표준으로 채택될 확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나노기술을 활용하는 디스플레이, 미래 차, 바이오산업 분야에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전망이다.

김대자 국가기술표준원장은 나노 소재 분야에 대한 국제표준 개발 및 국가 표준(KS) 제정을 확대하여 우리나라 첨단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보건·안전 분야 산업 발전에도 이바지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산업단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