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산업부 / 이번 총회에서는 AI 대전환이 아태지역 국가들의 생산성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회원국 간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출처 : 산업부 / 이번 총회에서는 AI 대전환이 아태지역 국가들의 생산성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회원국 간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한국생산성본부(회장 박성중)와 공동으로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제66차 아시아생산성기구(APO) 생산성본부 대표자 총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는 지난 2017년 이후 8년 만에 한국에서 열리는 행사다.

아시아생산성기구(APO)는 1961년 출범한 국제기구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생산성 향상과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20개 회원국이 활동 중이며, 이번 총회에는 방글라데시·캄보디아·일본·말레이시아·베트남 등 19개 회원국 대표단을 포함해 약 80명이 참석한다.

이번 총회의 핵심 의제는 ▲AI 및 디지털 전환 ▲저출산·고령화 ▲기후 변화 등 시대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APO Vision 2030’ 전략 및 실행계획이다. 또한 국제노동기구(ILO), 세계은행(World Bank) 등 주요 국제기구의 운영 사례를 참고해 APO의 조직 운영 체계 고도화 방안도 논의된다.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은 환영사를 통해 “생산성 향상은 지속 가능한 성장의 가장 확실한 해법”이라며, “AI 대전환이 아태지역 국가들의 생산성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회원국 간 협력을 강화하겠다”라고 강조했다.

한국생산성본부 박성중 회장은 개회사에서 “세계는 현재 AI 전환, 기후 위기, 인구 구조 변화 등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라며, “APO 역시 시대의 요구에 따라 근본적인 혁신이 필요하며, 이번 총회가 그 변혁의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산업단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