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산업부 / 정부한-독일 간 산업 데이터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성공 사례를 공유하였다.

산업통상부(장관 김정관, 이하 산업부)는 10월 23일 서울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에서 독일 연방 경제 기후 보호부와 공동으로 '제2회 한-독 산업 데이터 협력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단지공단, AI 개발 기업 등 산·학·연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하여 지능형 물류로의 산업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물류 AI 혁신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이번 포럼은 지난해 10월 열린 제1회 포럼에 이어 두 번째로 마련되었다. 2026년 정부 예산안에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 표준 모델 구축’ 사업(한국형 Manufacturing-X 플랫폼 표준 모델 개발 및 실증, 2026~2029년 총 300억 원 규모)이 반영된 만큼, 한-독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성공 사례를 공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제조 공정 및 전·후방 연계 영역 전반에 AI를 도입하여 제조 AX를 확산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산업 자료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산업부는 지난 9월 3일 ‘제1회 산업 AI 엑스포’를 계기로 주요 10개 업종 협회를 중심으로 기업 간 자발적 제조 데이터 공유 협력 체계 마련을 위한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이날 포럼에서는 우리 산업 여건에 적합하도록 주요 업종별 제조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 전략을 함께 논의하고, 독일과 산업 데이터 표준, 데이터 스페이스 간 연계 방안 등을 협의했다.

또한, 국내 데이터 스페이스 핵심 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이 한국의 데이터 스페이스 기술 개발 및 실증 사례 등을 발표했으며, 독일 측은 ‘Catena-X(자동차 업종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 추진 현황과 성공 사례를 소개하는 등 민간 차원의 협력도 진행했다.

산업부 강감찬 산업정책관은 “대표적인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인 Catena-X를 성공적으로 구축한 독일의 경험과 노하우를 잘 활용하여 우리 산업에 적합한 산업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한다면 국내 제조 기업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도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 선도 국가인 독일과의 정기적인 협력을 통해 글로벌 산업 데이터 생태계를 민관이 함께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산업단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