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이 16일(목) 오후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2025 세계 지능형 커넥티드 자동차 콘퍼런스(WICV)’에 참석해 “국산 자율 차가 세계 무대에서 달릴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라는 의지를 밝혔다.
WICV는 자율주행, 커넥티드카 등 차세대 모빌리티 분야의 최신 기술 동향, 산업 동향, 정책 방향을 공유하는 국제적인 행사로,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ECE),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 협회(ACEA), 글로벌 완성차 및 ICT 기업, 학계·연구 기관 등 세계 각국 관계자가 참여했다.
김 장관은 콘퍼런스에 앞서 중국 공업정보화부 청사에서 리러청(李 成) 공업정보화부 부장과 만나 자율주행을 포함한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정책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세계 자동차 생산 시장의 약 34%를 차지하며 전기차, 커넥티드카, 자율주행 등 모빌리티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는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해 한국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려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국토교통부는 전했다.
특히, 중국 베이징에서 1,500여 대의 로보택시를 활용해 복잡한 인프라와 교통 환경 속에서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예외적 상황(Edge Case)을 학습하는 대규모 실증 사례에 주목했다.
국토교통부는 베이징 등의 선진 사례를 참고하여, 국내 자율주행 실증 도시 운영에 필요한 적정 규모의 실증 환경 조성과 운영 지원 방안 등을 자세히 검토할 방침이다.
“선진국 정책 참고, 한국 실정에 맞는 지원방안 마련할 것”김 장관은 "세계 각국이 미래 전략산업인 자율주행 AI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라고 현 상황을 진단하며, "우리나라는 아직 미·중 대비 자율주행 기술 수준이 낮아 선진국들의 정책 사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토교통부는 이른 시일 내 자율주행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철저히 준비하여 해외 선진국과의 자율주행 기술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히며, 자율주행 분야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지원 의지를 재확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