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전북특별자치도청 / 24일 전북 부안 신재생에너지 단지에서 열린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준공식에서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현대건설 김재영 기술 연구원장, 한국수력원자력 김형일 에너지믹스 사업 본부장
출처 : 전북특별자치도청 / 24일 전북 부안 신재생에너지 단지에서 열린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준공식에서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현대건설 김재영 기술 연구원장, 한국수력원자력 김형일 에너지믹스 사업 본부장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가 9월 24일 전라북도 부안 신재생에너지 단지에서 국내 최초 상업용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기지 준공식을 개최하며 대한민국 청정수소 시대의 서막을 알렸다. 이번 기지는 하루 1톤 이상의 수소를 생산해 인근 수소연료전지 시설과 충전소에 공급하는 핵심 인프라로, 전북 지역 수소 생태계 구축의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이번에 준공된 생산기지는 2.5메가와트(MW) 용량의 수전해 설비를 갖춰 연간 약 365톤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생산된 수소는 250바(bar)로 압축되어 출하되며, 부안군 수소 도시 조성 사업의 핵심 공급원으로 활용된다.

특히 재생에너지 연계형 수전해 방식을 도입해 탄소 배출 없이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특징이다.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 국내 수소 인프라 구축 주도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는 이번 사업을 포함해 충남 보령 수소 생산기지, 김천 태양광 그린수소 실증 사업(10MW 규모) 등 국내 주요 수소 프로젝트를 잇달아 수행하며 업계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관계사를 수전해 장치 제조업체 테크로스와 협력해 EPC(설계·조달·시공) 역량을 결합한 수소 사업 플랫폼을 구축 중이며, 폐갱도 CO₂ 저장 및 바이오가스 활용 수소 생산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준공식에는 전북특별자치도 김종훈 경제부지사, 부안군 권익현 군수, 한국수력원자력 김형일 본부장 등 주요 인사 100여 명이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 김상민 본부장은 "이번 기지는 단순한 설비 구축을 넘어 대한민국 수소경제 도약의 상징"이라며, "전북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수소 네트워크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는 청정수소 생산뿐만 아니라 탄소 포집(CCUS), 폐기물 처리 등 환경·에너지 분야 종합 설루션 기업으로서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할 방침이다. 회사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수소 인프라 구축에 주도적인 역할을 이어갈 계획이다.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는 수처리·폐기물 처리부터 수소·CCUS까지 환경 에너지 분야의 종합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기업으로,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청정에너지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산업단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