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지난 5월 13일 남구 부곡동에서 ‘울산국가산단 통합안전관리센터 준공식’을 개최하고, 울산미포 스마트그린산단 통합관제센터를 첫 공개했다.
울산시는 지난 5월 13일 남구 부곡동에서 ‘울산국가산단 통합안전관리센터 준공식’을 개최하고, 울산미포 스마트그린산단 통합관제센터를 첫 공개했다.

울산미포 국가산업단지가 디지털트윈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통합안전관리체계를 바탕으로 첨단 스마트그린산단으로 거듭난다. 울산시는 오는 11월까지 울산미포산단 전역에 대한 실시간 안전 감시 체계를 완성하고, 대형사고 예방과 신속 대응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울산시는 지난 5월 13일 남구 부곡동에서 ‘울산국가산단 통합안전관리센터 준공식’을 개최하고, 울산미포 스마트그린산단 통합관제센터를 첫 공개했다. 통합관제센터는 24시간 작동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의 첨단 관제시스템으로, 울산미포 국가산업단지를 실시간으로 관찰·분석하고 잠재 위험을 사전에 탐지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번 사업은 울산미포 국가산단이 2021년 산업단지 대개조 공모사업에 선정되며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지정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울산정보산업진흥원을 비롯한 6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2022년 12월 착공했으며, 현재 공정률은 90%에 도달했다. 총 사업비는 130억 원(국비 85억 원, 시비 45억 원)이 투입됐다.

통합관제센터는 총 37.8㎢의 울산미포산단과 1,767㎞에 달하는 지하배관을 디지털트윈 기술로 가상 복제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해 ▲화재·폭발 감지(70m 관제탑 영상감시), ▲지하배관 감시(사물인터넷 기반 58개소, AI 기반 22개소), ▲유해물질·악취 추적(48개소), ▲지능형 가로등(20개소), ▲지능형 공간 스마트부스(3개소) 등의 기능을 실시간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시는 오는 11월 말까지 영상감시체계와 시민편의를 위한 지능형 스마트부스 추가 설치, 관제 시스템 시범 운영을 마무리하고, 본격적으로 통합관제센터를 가동할 예정이다. 특히 화학제품 및 석유정제 산업이 밀집한 울산미포 국가산단의 특성상, 해당 시스템은 유해물질 유출이나 폭발 등 대형사고에 대한 대응체계를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미포 스마트그린산단 통합관제센터는 단순한 안전 강화를 넘어, 울산 국가산단을 미래지향적 첨단산업단지로 전환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근로자 근무환경 개선 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울산시는 해당 시스템을 기반으로 향후 국가산단 내 AI·빅데이터 기반 산업안전 기술의 고도화, 공공 데이터 연계 확대 등 종합적 스마트산단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산업단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